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토론장

“대학서열 깨지 않은 대입개선은 사기극”

“대학서열 깨지 않은 대입개선은 사기극”

기사입력 2007-09-13 10:31

해 방 직후인 1945~53년까지 대입제도는 정부 관여가 거의 없이 대학별 단독시험을 치르는 완전자율에 가까웠다. 이때는 대학에 가려는 학생이 대학 정원보다 적었다. 일부 사립대가 무자격자를 대량으로 정원 외 합격시키는 등 문제가 심각했다. 그래서 1954년 대학 정원의 140%를 국가 연합고사로 걸러낸 뒤 본고사를 치르도록 했다.
그러나 ‘연합고사+본고사’ 병행실시가 이중 부담이라는 이유로 1955~61년 다시 본고사 단독 체제로 돌아갔다.

“고교과정 모르는 대학교수가 입시문제 출제”

1960년대 들어서는 대학진학 욕구가 커지면서 청강생들이 크게 늘어나는 등 입시관련 부정과 비리가 빈발했다. 이에 따라 5·16 군사정부는 교육쇄신방안의 하나로 1962~63년 대학입학자격고사를 치르도록 했다.
교육부만 40년 넘게 출입해 교육정책의 산증인으로 불리는 김병옥 새교육신문 편집국장은 “당시 뒷문으로 들어간 실력없는 대학생들에 대한 비난 여론이 커지자 박정희 군사정권은 먼저 1961년 졸업자격시험을 도입했다가 이듬해부터 입학자격고사로 바꿨다”고 말했다.
그러나 2년간 대학입학자격고사를 시행한 결과 정원미달사태가 생겼을 뿐더러 대학 자율성을 침해한다는 목소리가 커켰다. 1964~68년 다시 대학별 단독고사로 되돌아갔다.

이 처럼 대학입시의 주도권을 놓고 국가와 대학이 엎치락뒤치락하던 중 1968년 10월 대입예비고사제가 도입됐다. 일종의 자격시험인 예비고사 커트라인을 통과한 사람에 한해 본고사를 치를 자격을 주는 방식의 ‘예비고사+본고사’ 체제였다. 이 제도는 신군부가 주도한 1980년 ‘7·30교육개혁’으로 본고사가 폐지될 때까지 지속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