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병옥컬럼

[사설] 혁신학교 어제와 오늘

[사설] 혁신학교 어제와 오늘

 

국회 토론회 평가를 보고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교문위) 신학용(민주당)위원장과 우원식, 도종환 의원 등 한국교육네트워크(연구네트워크)는 지난 2월19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 주최로 ‘제1기 주민직선 교육자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벌인 토론회에서 혁신학교의 어제와 오늘을 조명하면서 내일을 위한 과제를 제시한 것으로 의미가 있었다.

 

이날 성기선 카톨릭대 교수는 “농어촌의 폐교 위기에 몰린 작은 학교를 살리기 위해 시작해서 교원들이 이런 벽촌학교에 가기를 꺼리는 기피학교 살리기 노력의 일환이었던 교사 주도의 공교육 살리기 운동이 특징이었음에도 지난 2009년부터 혁신학교가 지정사업으로 달라져 아래로부터 혁신 교사들의 자발성에 근거한 혁신이 아니라 위로부터 강제된 혁신으로 변모한 것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서울의 교원들은 전·현직 교육감의 시책에서 차이가 심했던 탓으로 차질이 빚어진 것을 되돌아보면서 공감하는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성 교수는 “소수의 혁신학교 성공 사례를 지속해 나가면서 점진적 확대가 필요한 시점에서 조급하게 서둘러 대규모 확대를 통해 혁신정신이 훼손되는 우를 범했다는 비판이 제기 되었다”면서 “갑작스러운 혁신학교 확대는 그것을 받아들일 민주적 학교공동체와 자발적 학습모임 등 토대가 마련돼 있지 않는 일반학교에서는 정책의 실패로 귀결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걱정했다.

 

그러나 서울 개포중학교 한만중 교사는 “지난 4년은 우리 교육이 사회적 기본권으로 보편적 복지 차원에서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 성과”라며 “현 정부는 고교 무상교육과 대학생 반값 등록금 정책이 임기 안에 시행될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소망했다.

 

이는 고교생을 직접 가르치고 있는 현장 교사의 요청이기에 참석자들은 모두 귀를 귀울였고 동의했다.

 

이형빈 교육네트워크 연구원은 “학교운영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정비와 학생의 기본적 권리 확대 등 학습복지 실현을 위한 학교조직 개편을 통해 혁신학교 성과를 이어가도록 계속 노력하도록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에 우리는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감과 일부 지방의회의 마찰에서 빚어진 보·혁갈등을 지켜보았고 모처럼 경험한 혁신학교의 장점 지속과 단점 개선을 위한 지적과 대안에 공감하면서 헛되지 않도록 간절히 바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