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토론장

[시사해설] AI교육 전략과 학교지원

[시사해설] AI교육 전략과 학교지원

 

미·중국 한판 승부 영역

서울 “시대부응 원년” 다짐

정부 준비지수 급조 수준

 

지난해 연말 정부는 인공지능(AI) 국가전략을 발표했고 새해들어 서울시교육청은 “인공지능 교육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혀 올해 각급학교의 AI교육에 기대하게 된다.

 

국가 AI전략은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한판 승부영역이면서 정부의 준비 지수도 잰걸음으로 급조된 것에 아쉽다는 평이다.

 

이는 새로운 인공지능으로 2030년까지 세계경제가 15조달러 이상 늘게 되고 매년 증가할 것에 긴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은 자국의 안보를 넘어선 것으로 미래세계와 인류에 대한 통제권력을 놓고 승부를 벌일 것에 위협적이다.

 

이에 올해 들어 1월 현재 30개국에서 인공지능 전략을 발표했고 독일 아데나워재단은 각국의 인공지능 전략비교평가 보고서를 공개할 만큼 심각하다.

 

이밖에 OECD와 세계경제포럼(WEF)이 제시한 인공지능 국가전략의 설계와 실행지침 권고는 선도적인 인공지능 기업과 활발한 창업 생태계, 역동적인 연구문화 등 이를 뒷받침할 정책과 제도가 성공 요소임을 시사했다.

 

우리 정부의 전략도 “인공지능 강국이 되겠다”고 의지를 보인 수준이다.

 

이처럼 인공지능은 이해와 추론의 영역인 음성인식과 언어 영역으로 발전하면서 엄청난 데이터 처리 능력을 요구하므로 학습능력 개선에 필요한 용량이 3~4개월마다 두 배씩 늘어나는 등 기존의 하드웨어는 무어의 법칙을 따라 가기에 벅차다고 한다(한신대 전병유 경제학 교수) 또 인공지능 학습능력제고에 적합한 칩의 수요가 증가한 것이 드러났고 칩 전쟁은 국가간 힘의 균형에서 이미지와 음성 인식, 자율주행, 감시시스템 등 새로운 무기에서 우위를 선점할 만큼 위협적이다.

 

이에 비추어 국회에서 처리가 미흡한 ‘데이터3법’도 기업의 개인정보 접근성 문제에만 집중했고 정부의 전략은 2017년 DECD 35개국 가운데 4위에서 지난해 17위로 추락하면서 급조된 인상으로 비쳐지고 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곧 보편화 될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해서 선도적으로 사물인터넷 환경과 인공지능교육을 도입한다.

 

우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특성화고교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관련 학교를 연차적으로 5년간 10개교씩 전환, 개교한다. 이에 매년 교사의 심화연수와 800명을 육성해서 초·중학교마다 1명씩 배치한다.

 

이밖에 코딩교육, 코딩실험, 3D프린터 등 다양한 창작교육과 공립초교에 AI활용 선도 6개교를 지정해서 활용방안을 모색하면서 초·중·고 모두 사물인터넷 및 AI기반 교육프로그램(서울SW교육체험센터)지원과 전국 최초의 인공지능교과서(인정교재)를 개발해서 올해 2학기부터 활용하고 3개의 인공지능-사물인터넷(AI- IOT)시범학교를 운영한다.<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