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병옥컬럼

[사설] 대입 전형 간소화 더 복잡

[사설] 대입 전형 간소화 더 복잡

 

고교 현장 교사의 요청 따르라

 

서울 잠실여고의 안연근(EBS 전속) 교사는 최근 신문 기고에서 “교육부의 대입 전형 간소화 첫 해인 2015년도 전형이 오히려 더 복잡해졌다”고 지적, 수험생과 학부모들로부터 공감을 사고 있다.

 

이는 사설 입시기관에서 조사한 전국215개 4년제 대학의 전형 명칭에 기준을 둔 전형방법이 수시와 정시에서 모두 2988개임이 밝혀지는 등 대학교육협의회에서도 전형 명칭과 관계없이 전형 요소 및 반영 비율이 동일하면 하나의 전형방법이라면서 이렇게 해도 모두 892개라고 했다.

 

대교협의 발표는 “작년보다 38.6% 줄었다”고 주장하며 간소화의 효과에 회의적인 것에 반박하고 있다.

 

이에 안 교사는 “전형의 총합수가 2988개다. 892다라는 논쟁은 개별 수험생 입장에서는 중요하지 않다”면서 목표하는 대학이 어떤 전형 방법으로 어떻게 선발하는지 쉽고 선명하게 알고 싶을 뿐”이라고 현장을 대변했다.

 

교육부도 이를 인식하고 핵심 전형요소 중심으로 표준화된 전형 유형을 수시 4개, 정시 2개로 확정해서 지난해 9월23일 발표했으나 대학이 이에 따르지 않고 교육부의 4+2 전형 유형 간소화 방안에 호응하는 것처럼 보일 뿐 실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한 예로 학생부(교과)위주 전형의 경우, 수시 전형 방법에서 수능 최저 조건을 기화로 학생부 보다 수능과 논술을 준비하지 않을 수 없도록 한다.

 

대학에 따라서 논술위주 전형 유형에서 수능 최저 조건도 없이 논술 60%+서류 40%를 반영하는 등 서류평가를 잘 받기 위해서는 학생부와 자기소개서에 비교과 활동은 물론 쓸 거리를 요구한다.

 

실기위주 전형 유형도 실기로만 생각할 수 없게 어학·문학·수학·과학·정보 등의 특기를 포함, 혼돈이 따른다.

 

특히 전형 명칭을 외국어나 고유명사로 제시해서 수험생을 애먹이고 명칭만 봐서는 어떻게 선발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이밖에도 ‘입학사정관 전형’이거나 ‘특기자 전형’이라고 하면 될 것을 ‘인재전형’ 등 모호해서 전형 명칭의 통일화가 시급하고 모호한 전형 명칭과 방법은 표준화를 갈망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고교 현장 교사의 요청과 제언이 헛되지 않도록 대학입시 간소화를 주도하고 있는 교육부가 이에 귀를 기울여 수험생이 전형 명칭만 보고도 혼돈 없이 대입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