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병옥컬럼

[사설] 역사와 역사교육의 착란

[사설] 역사와 역사교육의 착란

 

좌우편향 따라 다를 수 있나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7월10일 역사교육 강화를 지시하자 정치권은 국사교육 부실을 강도있게 성토하는 등 그냥 넘어가기 어렵게 혼돈이 따를까 두렵다.

 

박 대통령은 우려와 당부에서 “역사를 제대로 배우지 않고 자란다면 혼이 없는 사람이 될 수 있다”고 걱정하는 등 해결책으로 “수능으로 딱 들어가면 깨끗하게 끝나는 일”이라고 제안했다.

 

이는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이 통치했을 때 “국적있는 교육을 강화해서 정신적 무국적자를 길러내지 않도록 하라”고 당부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당시에도 일부 학자들은 “역사와 역사교육은 달라도 될 만큼 강화되어야 한다”고 환영했다.

국민정신교육 강화가 시작된 것도 이 무렵이었고 국민윤리학회도 이 시기에 태동했다.

 

아울러 국가에서 시행하는 모든 시험은 국사가 필수로 출제되었으며 사법시험과 행정고시 등 기술고시에도 예외가 될 수 없게 국사의 비중이 컸다.

 

이와 같이 지난 7월10일 박근혜 대통령의 지적에 뒤이어 7월17일 제헌절 때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등 여권에서 본격적으로 역사교육 바로 세우기에 나선 것은 지난 시절의 일들과 너무도 흡사했다.

 

황 대표는 이날 새누리당의 최고위원 및 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젊은 세대가 우리 역사를 제대로 알지도, 배우지도 못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면서 “한국사 교육이 부실하다는 논란의 발단은 2005년 참여정부가 수능의 한국사를 필수과목에서 제외하면서 비롯되었다”고 성토했다.

 

황 대표가 예시한 2005년은 노무현 정부의 김진표 교육부총리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 재임한 때이다.

이처럼 현대사에 대한 보수와 혁신세력의 갈등이 심각하고 입장차이가 커서 국론분열의 진원이 되고 있는 상황이면 일선학교의 역사교육이 착시현상으로 혼돈에 빠져 헤어날 수 없게 마련이다.

 

현재 고등학교의 역사교육은 2012학년부터 한국사를 1학년부터 필수로 선택해서 올해 2학년까지 적용했고 내년이면 3학년에 확대되어 전면 시행하게 된다.

 

또 금년에 치를 수능고사의 한국사 출제 비중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 고3생들은 충분히 짐작하고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역사교육이야말로 학계의 양식에 맡겨져야 옳다고 보는 것이며 좌우편향에 따라 다를 수 없음은 물론 착란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