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교육 위해 ‘基礎漢字 1800字’ 유지 한문교육 위해 ‘基礎漢字 1800字’ 유지 - 교육언론 반세기 현역기자의 역대 교육장관 발자취 추적(제360회) - ○… 본고는 50년 넘게 교육정책 산실을 지켜본 본지 김병옥(010-5509-6320) 편집국장이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신동아’ 2006년 6월호 특집에 기고했던 것으로 당시 ‘교육부 40년 출입 老기자의 대한민국 교육장관 48인론(20페이지 수록)’을 독자여러분의 요청에 의해 보완, 단독 연재한다. 또한 생존한 전임 장관들의 자료제공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내일을 위한 거울이 되게 한다. 〈편집자〉…○ 새천년의 지식 정보화 사회 적합 부응 당시 주무담당 ‘편수뒤안길’에 증언 새롭게 교육 패러다임 확립 내실 다져 -조정위 구성하고 조율 주도한 장관은 경질로 떠나- 김대중 정부 세번째 임명 .. 더보기 5월 5 월 넝쿨장미 가시에 찔려 5월은 좀처럼 가시 울타리를 빠져나가지 못한다. 매봉산 뻐꾸기가 뻐어꾹 뻐어꾹 물고 늘어지지만 좀처럼 5월을 뽑아내지 못한다. 모두들 놓아주지 않는다 장미를 사랑하거나 사랑하는 장미 곁에 머물고 싶음이리라. 柳 貞 淑 더보기 [사설] 스승의 날과 교사의 날 [사설] 스승의 날과 교사의 날 師魂기린 추모 民主化 추앙 올해도 5월10일 ‘교사의 날’과 15일 ‘스승의 날’ 기념행사가 전교조와 교총에 의해 나름대로 치르고 지나갔다. 전자는 29년 된 ‘5·10교육민주화선언’을 추앙한 것이며 후자는 이름도 없고 욕심도 없이 병상에서 신음하다 숨을 거둔 평생 교단지킴이를 추모하기 위해 청소년 적십자사 중·고교생 회원들이 5월의 세종대왕 탄신일을 택해 제정한 것이 유래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교사의 날’은 1986년 5월10일 Y교사협 회원들이 ‘교육민주화선언’을 한 뒤 서울 YMCA강당에서 선언문을 발표한 것이 시작이었다. 특히 5월은 ‘세계노동자의 날’을 여는 것으로 ‘어린이 날’과 ‘어버이 날’에 이어 ‘교사·스승의 날’이 겹쳤다. 신군부 정권은 1980년.. 더보기 이전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