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측 불가능 미래 어떻게 가르치나 걱정 예측 불가능 미래 어떻게 가르치나 걱정- 교육언론 반세기 현역 백발기자의 역대 교육장관 발자취 추적(제426회) - ○ 본고는 50년 넘게 교육정책 산실(교육부 출입)을 지켜본 본지 김병옥(www.edukim.com·010-5509-6320) 편집국장이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신동아’ 2006년 6월호 특집에 기고했던 것으로 당시 ‘교육부 40년 출입 老기자의 대한민국 교육장관 48인론(20페이지 수록)’을 독자여러분의 요청에 의해 보완, 전재한다. 이는 전임 장관들의 증언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내일을 위한 사료가 되고 있다. 〈편집자〉○ 이명박 MB정부의 처음51대 김도연 교과부장관 손으로 경험 과학교육 심화 김도연 전 장관이 교육부에서 떠난 뒤에도 4차산업혁명 시대가 열린 것에 고민이 따른 것은 전세.. 더보기
바람과 달 바람과 달 이 승 만 ‘바람은 손이 없어도 나무를 흔들고달은 발이 없어도 하늘을 건너간다’ ※건국 초대 대통령 우남이 120년(1898) 전 여섯살 때 지은 시구이며 비범한 治世의 詩才가 엿보이고 한국 최초 신체시를 되돌아 보게 한다. 우남을 신동이라고 부른 연유가 이에 있었다. 더보기
[사설] AI대비 교육과정 시급 [사설] AI대비 교육과정 시급 차세대 IT역량 제고하라 현행 유치원 및 초·중·고교의 교육과정 개편 주기가 눈앞에 닥치면서 AI(인공지능)에 대비한 차세대의 IT(정보기술) 역량을 제고하는 일이 시급해졌다. KT가 지난 6월22~25일 ‘기술에 따른 일과 사랑’을 주제로 2030세대 2008명을 대상으로 AI와 VR 등 정보기술( IT)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 절반이 넘는 64%의 대답은 “인공지능(AI)이 일자리를 빼았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이 가운데 “인공지능으로 인해 연봉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은 47%였고 “AI덕분에 연봉이 늘 것”이란 기대는 7%에 불과해서 대조적이다. 또 사무직과 제조업 분야는 인공지능에 일자리를 내어줄 위기로 꼽았고 대체가 힘든 영역으로 예술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