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해설] 미국 敎師의 한국 見學 [시사해설] 미국 敎師의 한국 見學 메르스 와중 방한 12일 체류 하버드 웨스트레이크 18명 과학고 수업 참관 감명받아 미국 서부의 명문고교인 하버드 웨스트레이크(Harvard westlake) 교사 18명이 지난 6월11일 방한해서 22일까지 12일간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탐방하고 돌아갔다. 이들이 찾아온 시기는 메르스 사태로 한국방문을 꺼릴 만큼 어려운 때였으며 해외 관광객의 취소가 잇따른 것에 세계보건기구의 미국 질병센터와 UCALA 대학 바이러스 전문가들과 상의한 뒤 결정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한국을 찾았으며 무엇을 보기 위해 이처럼 애를 썼는지 궁금했다. 이 학교 교사들을 인솔한 클라인씨는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인의 높은 교육열과 교사의 우수성을 본받자고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했고 우.. 더보기 [잠망경] 65년 세월에 묻힌 6·25 회한 [잠망경] 65년 세월에 묻힌 6·25 회한 잊혀진 참전 소년병 1950년 6월25일 새벽에 돌발했던 북한의 남침 전쟁은 올해 65년을 맞는 것으로 짧지않은 세월에 묻힌 사연과 회한도 많아 도처에서 발끈.김종문 문화재방송 대표는 조선일보 지난 6월19일자 기고에서 “참전 소년병들도 국가유공자로 기리자”고 제안하며 “당시 중·고생 대부분이 참전해서 전사하는 등 희생이 컸다”고 술회. 또 1953년 7월27일 휴전이 되자 군번없는 용사로 귀가했고 2012년 7월 10명의 국회의원이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안’을 발의했으나 지금까지 국회에서 낮잠에 빠져있다”고 통탄. 비군인 유공자 울려 진진하 육군 예비역 대령은 조선일보 6월12일자 기고에서 “6·25전쟁 당시 학도병·유격군·노무자 등 비군인 참전자가 10.. 더보기 한해 8개월 동안 長官 4명 바뀐 악순환 한해 8개월 동안 長官 4명 바뀐 악순환 - 교육언론 반세기 현역기자의 역대 교육장관 발자취 추적(제362회) - ○… 본고는 50년 넘게 교육정책 산실을 지켜본 본지 김병옥(010-5509-6320) 편집국장이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신동아’ 2006년 6월호 특집에 기고했던 것으로 당시 ‘교육부 40년 출입 老기자의 대한민국 교육장관 48인론(20페이지 수록)’을 독자여러분의 요청에 의해 보완, 단독 연재한다. 또한 생존한 전임 장관들의 자료제공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내일을 위한 거울이 되게 한다. 〈편집자〉…○ 오면 가는 날 점쳐보기 일쑤 권위 퇴색 1~8월 일손 안잡히다 9월부터 안정 次官까지 3명 잦은 이취임식에 실소 -남북 ‘6·15선언’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김대중 정부 5번째.. 더보기 이전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