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설] 방과후학교의 교육손익 [사설] 방과후학교의 교육손익 학생·학부모·교원·학원에 물어보라 노무현 정권의 말기에 시작된 방과후학교 정책은 3년째 접어들고 있어도 찬·반 시비가 가라앉기는 커녕 더욱 거세게 일고 있다. 정치권은 방과후학교 운영 강화가 서민의 일자리 창출과 사교육비를 줄이는 데 지름길이라고 우기고 지자체는 관내 학교의 경비지원 차원에서 돕는다고 하지만 학생 급식과 교육환경 개선에 눈을 돌리고 있다. 정작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들은 사교육비를 경감하는 방안에는 수긍하면서도 시행의 허구에 실망하는 등 회의적이다. 교원들은 학교교육과정 운영에서 방과후학교가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허술한 것을 지적하면서 제대로 된 방과후학교의 모델과 성과분석을 요구한다. 학원에서는 방과후학교의 폐해와 문제점을 들어 파행적 형태를.. 더보기
25대 이규호 문교장관〈1980. 5.22∼83.10.14 재임〉 교직의 세속화 차단위해 윤리관 등 확립 - 역대 교육장관 발자취 교과부 43년 출입기자의 추적(제109회) - ○… 본고는 금년 5월 15일로 교과부 출입기자 43년을 넘기고 44년째가 될 본지 김병옥 편집국장이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신동아’ 2006년 6월호에 기고했던 … ○○… 것으로 당시 ‘교육부 40년 출입 老기자의 대한민국 교육장관 48인론(20페이지 수록)’을 독자여러분의 요청에 의해 보완한 것을 단독 연재한다. 〈편집자〉 … ○ 교원대학교 설립 교원자격 강화 - 스승의 날 기념 정부행사로 격상 - 교단교사 우대 교과지도비 신설 - 명퇴확대 숙직폐지 경시풍토 불식 지위향상법 제정 - 25대 이규호 문교장관 〈1980. 5.22∼83.10.14 재임〉 ▲1982년 2월 12일… 교원정책 가운데.. 더보기
[주간시평] 교육의원 選擧區 확대 국회의원 3배 시도의원 9배 - 선거비용도 지방의원의 배액 - 출신구 광역만큼 예우 따라야 교육감·교육의원이 직선제로 바뀌면서 선거구의 규모에도 불구하고 대접할 줄 모른다. 우선 선거구의 구분에서 대통령은 대선거구라고 할 필요도 없이 나라 전체가 단일구다. 그래서 대통령선거는 선거구에 의미가 없다. 그러나 시·도지사와 교육감 선거는 분명 대선거구라고 해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교육의원이다. 현행 국회의원과 시·도의회 의원 선거보다 선출구역이 넓은 중선거구제이다. 때문에 국회의원 대접은 따르지 못하더라도 시·도의원 만큼 예우를 받아 마땅하다. 또한 시장·군수·구청장 등 지자체장과 기초단위의회의 시·군·구의원은 소선거구제로 분류하는 것과 견주어봐야 한다. 사실이 이런데도 교육의원을 소선거구 출신으로 자리매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