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계시평] 새누리당 의원 국감평가 [정계시평] 새누리당 의원 국감평가 지난해 10월 교육국감 활동 의원별 항목 선정에 눈길 국회 교문위소속 12명 성과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정책위원회(위원장 김기현)는 지난해 10월에 실시했던 정기국회 국정감사 자체평가서를 내 놨다. 다음은 평가서에 담은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12명의 교육관련 성과 항목이다. ▲김희정(부산 연제구 재선) 1. 대학 성적증명서 이수증발급 및 국가장학금 부정수급 문제 시정. ▲강은희(비례대표) 1, 학습장애로 인한 학습부진 학생들의 맞춤형 대책 요구 2, 입시제도 개선에 있어 입학사정관제 재평가 촉구. ▲김장실(비례대표) 1, 국·공립병설유치원의 식단이 초등학교와 동일하지 못함을 지적 2,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교과서의 북한관련 서술 문제점 시정. ▲박성호(경남 창.. 더보기
[잠망경] 교원정책 쇄신없이 역주행 [잠망경] 교원정책 쇄신없이 역주행 기간제 편법에 퇴행 올해도 교사임용은 국·공·사립학교가 서로 다르지 않게 기간제 편법 등 역주행으로 퇴행. 본래 기간제는 임시직으로 여교사의 산휴와 장기입원병가에 이용했던 것으로 산휴 대체 강사직은 당사자가 구해 학교장이 결정했던 것을 잊기도. 특히 기간제(期間制)는 말 그대로 한시적인 것임에도 지금은 복직에도 적용해서 최장 8년간 근속한 경우가 수두룩하는 등 고쳐서 바로잡을 생각 없이 지속. 공립 임용고사 정착 국립학교인 교·사대 부속 초·중·고교와 전문계 국립고교의 교사 임용은 아직 점검된 것이 없지만 시·도교육청의 공립유치원과 초·중·고 교사는 공채제도인 임용고사에 따르고 있어 뒤탈이 없고 정착상태. 이로 인해 임용대기시절의 고참 교사 일부는 잔유가 희소해 세월이.. 더보기
문교장관 교총회관서 청와대 연두 보고 문교장관 교총회관서 청와대 연두 보고 - 교육부 48년 출입기자의 역대 교육장관 발자취 추적(제302회) - 노태우 대통령 보고 장소 변경 파격적 당시 윤형섭회장 ‘교사3불론’ 어필 전교조 활동에 대적할 교총위상 배려 - 문교부 제7차 초·중등교육과정 개정작업 박차- 현직 도종환 국회의원 증언 도종환 교사가 경찰에 끌려간 뒤 학교에서는 학부모들에게 가정통신문을 보냈다. “담임을 맡은 학급에서 얼마나 많은 사고가 났는지 헤어보기 어렵다는 등 성적이 뒤떨어지고 아이들을 다 버려놨다”고 헐뜯었다. 학교수업에서 4·19혁명과 3·15부정선거에 대해 얘기하면 징계를 받는 게 당시 교육계의 현실이었다고 한다. 통일교육을 하면 좌경의식화 교육을 한다고 의심받던 시절이었으며 한겨레신문에 실린 북한 사진을 수업시간에 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