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평] 스마트교육 체제 조성 [주간시평] 스마트교육 체제 조성 아날로그시대 종언 불구 교수·학습역량 제고 시급 디지털교과서 개발 늑장 TV방송 등 영상매체의 아날로그시대가 2012년에 끝나 2013년은 디지털시대로 진입, 5개월째다. 그러나 유치원·초·중·고 교실은 여전히 서책형 교과서에 의존하고 있어 디지털교과서를 연계한 새로운 구축이 시급한 실정. 이것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늑장 대처가 불러온 시대흐름의 반역이다. 이를 보다 못해 화가 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지난 4월 18일 교육부 업무계획을 들춰 이 부문의 향후 추진 방향을 묻고 조속한 대응책을 촉구했다. 특히 교육부는 이를 전담할 국장급 창의인재정책관을 국회에서 질타가 있은 하루 뒤에 임명했고 그 다음날은 ‘스마트교육학회’가 창립되었다. 신임 정책관은 교육과정 .. 더보기 [잠망경] 고교 가운데 기숙형 대만족 [잠망경] 고교 가운데 기숙형 대만족 자사고 정원미달 사태 MB정부 때 공들인 고교정책에서 자율형 사립고교(자사고)는 처음 시작과 달리 정원도 채우지 못한 학교가 속출. 특히 평준화지역에서까지 공납금을 3배 더 받도록 허용하면서 교내 지도가 남다를 것에 기대한 것과 달리 수능과 대입시는 만족할 수준에 이르지 못해 곤혹. 결국 기숙학원 등으로 빠져나가면서 붙잡기 어려워 속수무책. 자공고 교장 따라 성패 같은 평준화 지역에서 사립고교만 자율형이 되는 것에 형평을 맞춰 기회가 제공되도록 배려한 것이 자율형 공립고교(자공고)가 된 것. 그러나 학구의 여건과 학부모에 따라 반신반의하면서 학교운영 방침에 따르는 대신 교장의 역량을 저울질. 결과는 교장을 잘 만난 학교는 자사고 부럽지 않게 성공적인 반면, 그렇지 못.. 더보기 [사설] 교사와 학생 자존감 상실 [사설] 교사와 학생 자존감 상실 고3생의 지적과 호소에 공감 공주사대 부고 3학년 박인규군은 지난 4월11일자 한겨레신문에 전국청소년정치외교연합 4기 전국회장 명의로 창조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개혁이 시급하다면서 교사와 학생의 잔존감 상실이 심각한 것을 내비쳤다. 박군은 1천개가 넘는 전국의 일반고교생 3명 중 1명이 내신 7~9등급으로 전전하고 미래 창조경제의 주역이 되어야 할 학생들은 끼와 창의성 발휘는 커녕 희망을 잃고 지쳐있다고 호소했다. 또 이에 따른 대안으로 혁신적인 학교환경 조성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자존감을 일깨워달라고 했다. 교사의 역량개발 부족과 시대변화에 따르지 못한 안일한 대처가 청소년의 자존감까지 확립시키지 못한 요인이라고 지적한 것은 따끔했다. 특히 교사들은 인사고과와 성과급 .. 더보기 이전 1 ··· 227 228 229 230 231 232 233 ··· 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