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시평] 시골학교는 人材 산실 [주간시평] 시골학교는 人材 산실 지도자 90% 농어촌 출신 - 역경속 저력 의지 키워 - 서민 가정에서 빈곤 겪어 사교육의 폐단이 커지면서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은 옛 일”이라고 비유한 것을 듣게 된다. 흔히 말하는 세칭 일류대학 입학만 보고 졸업후 모습은 제대로 보지 못해서 나온 말인 듯 싶다. 예나 지금이나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지도자의 90%는 농어촌 출신으로 시골에서 배우고 자랐다. 그래서 우리도 “시골학교는 인재의 산실”이라고 했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윤보선 전 대통령만 빼고는 모두 시골출신이다. 서민 가정에서 태어나 빈곤을 겪었고 역경을 이긴 저력과 의지를 키웠다. 현직 이명박 대통령도 국화빵을 구워서 판 돈으로 학비를 조달한 고학생이었다고 한다. 때문인지 서울시장 재임시에는 매달 .. 더보기
[社 說] 교원만 평가하지 마라 [社 說] 교원만 평가하지 마라 지도 감독 포함 법제화 시급 오는 3월부터 시·도교육청의 규칙으로 시행할 교원평가제의 밑그림이 밝혀지면서 국회의 법제화 수순에 주목을 끈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의 시행계획이 구체적으로 발표된 것을 계기로 교육현장에도 새로운 관심사가 되고 있다. 거두절미하고 학교교육을 수요와 공급의 관계로만 보는 것에 실망하게 된다. 수요자인 학생·학부모를 공급자인 교원의 평가에 참여시킨 것으로 제도의 근간을 삼으려는 단견에 공감이 따르기 어렵다. 공교육의 구조상 교육의 산실인 학교만 공급자일 수 없고 이를 지도·감독하는 교육청 교과부의 책무가 더 무겁고 절대적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우리는 이것을 ‘지원세력’으로 통칭하면서 포괄적 책무의 주된 기능과 역할을 간과할 수 없어 지적하게 .. 더보기
26대 권이혁 문교장관/인구교육 첫 시작 性교육도 함께 서둘러 인구교육 첫 시작 性교육도 함께 서둘러 - 역대 교육장관 발자취 교과부 44년 출입기자의 추적(제141회) - ○… 본고는 금년 5월 15일로 교과부 출입기자 44년을 넘기고 45년째가 될 본지 김병옥(010-5509-6320) 편집국장이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신동아’ 2006년 6월 … ○ ○… 호에 기고했던 것으로 당시 ‘교육부 40년 출입 老기자의 대한민국 교육장관 48인론(20페이지 수록)’을 독자여러분의 요청에 의해 보완 단독 연재한다. 〈편집자〉 … ○ 그만 “낳자”는 식 산아제한 정책 중단 한 번 시작해 보는 수준 이상 활성화 되지 못해 학계의 “발전 동력 고갈” 경고 급선회 - 교원대 ‘석·박사과정 중심’ 설립취지 실현못한 아쉬움 - 26대 권이혁 문교장관 〈1983.10.15∼85.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