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장애인 고용 의무 팽개쳐 [사설] 장애인 고용 의무 팽개쳐 작년 국감 시정요구 묵살했다 제19대 국회 교문위의 지난해 임기말 국감결과 시정을 요구했던 장애인 고용의무 이행이 일부 시·도교육감에 의해 묵살된 것으로 올해 새 국회의 첫 국감결과 처분 요구를 통해 응분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어 주목하게 된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10월24일 발표한 법정의무 고용비율을 위반한 시·도교육청은 서울, 부산, 경기, 충남 등 4개 지역이다. 이는 지난 2011년부터 연간 두 차례에 걸쳐 발표한 고용의무 기준에 미달한 기관과 기업의 명단을 통해 알게 됐다. 이 기준은 공공기관 3.0%, 민간기업 2.7%로 강제 규정이다. 이를 지방교육자치의 본산인 시·도교육청의 직선 교육감이 지키지 않았다면 추호도 용납이 될 수 없다.특히 서울시교육청(교육.. 더보기 [시사해설] 국정 농단 교육계 분통 [시사해설] 국정 농단 교육계 분통 대학생 고교생 중학생까지책임소재 가려 재앙 막도록교사 교수도 함께 시국선언 “밤잠을 못 이룬다. 내가 이러려고 대통령을 했나 하는 자괴감이 들 정도로 괴롭기만 하다” 이는 다른 사람이 아닌, 박근혜 대통령의 지난 4일 오전 최순실 사태에 대한 두 번째 대국민 사과 때 나온 말이다. 그러나 이날 이후 뒤이어 터진 국민의 분통은 날이 갈수록 수그러들지 않고 거세진다. 이전에 벌써 충천했고 계속된 사과는 약발이 서지 않는다. 진정성에 의문이 따르고 퇴진요구와 하야를 촉구하는 질타가 빗발치면서 민심은 어느새 탄핵할 기세로 돌아섰다. 지난 4·13총선 결과의 교훈을 묵살한 것이 재확인 되는 것으로 국민은 성숙했고 민주주의를 지킬 의지와 용기를 보여준다. 처음 대학가의 움직임이 .. 더보기 [잠망경] 한·중·일 상대국 불신감 [잠망경] 한·중·일 상대국 불신감 일본인에게 한국은일본의 언론엔피오(NPO)와 한국의 동아시아연구원 등 중국의 링뎬연구컨설팅그룹이 참여한 한국과 중국, 일본인의 상대국 불신감 조사 결과는 충격적. 일본인에게 “한국은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인가?” 물음에 “신뢰 않는다”고 대답이 57.4%로 모르겠다 무응답 19.3%, 신뢰할 수 없다 24.7%, 신뢰할 수 있는 편 21.9%, 신뢰할 수 없는 편 32.7%로 나타난 것. 일본 내각부 조사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친근감은 지난해 33%까지 하락한 것으로 2000년대 후반의 60%에서 급락. 한국인에게 일본은“신뢰하지 않는다”가 75.7%로 “신뢰할 수 없다” 24.7%, “신뢰할 수 없는 편” 18.4%, 신뢰할 수 있다“는 3.2%에 그쳐. 또한 “일본.. 더보기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