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병옥컬럼

[사설] 스승의 날과 교사의 날 [사설] 스승의 날과 교사의 날 師魂기린 추모 民主化 추앙 올해도 5월10일 ‘교사의 날’과 15일 ‘스승의 날’ 기념행사가 전교조와 교총에 의해 나름대로 치르고 지나갔다. 전자는 29년 된 ‘5·10교육민주화선언’을 추앙한 것이며 후자는 이름도 없고 욕심도 없이 병상에서 신음하다 숨을 거둔 평생 교단지킴이를 추모하기 위해 청소년 적십자사 중·고교생 회원들이 5월의 세종대왕 탄신일을 택해 제정한 것이 유래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교사의 날’은 1986년 5월10일 Y교사협 회원들이 ‘교육민주화선언’을 한 뒤 서울 YMCA강당에서 선언문을 발표한 것이 시작이었다. 특히 5월은 ‘세계노동자의 날’을 여는 것으로 ‘어린이 날’과 ‘어버이 날’에 이어 ‘교사·스승의 날’이 겹쳤다. 신군부 정권은 1980년.. 더보기
[사설] 학교 안전교육의 강화 [사설] 학교 안전교육의 강화 세월호 이후 전환 대책 시급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는 지난 4월16일 제259회 임시회의 때 강성언 의원 질의로 시교육청에 세월호 참사 이후 달라진 학교안전교육 전환 대책을 확인했다. 이는 세월호 참사 이전의 안전업무는 사고발생시에만 담당부서에서 단순 처리했던 방법에서 그 이후 총괄·조정할 부서를 신설하여 체계적으로 일원화 되고 있음에 가늠해 본 것이다. 이날 시의회 요구에 제출한 향후 추진계획을 보면 교육안전관리 종합대책 및 집행계획을 오는 6월까지 수립해서 재난에 대비하고 교육안전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세월호 이전과 달리 이동식 안전체험시설을 서둘러 8.5톤 차량에 설치하고 초·중학교를 순방하면서 전문강사의 지도하에 체험위주 안전교육을 실시한다는 것이며.. 더보기
[사설] 거리에 나선 전교조 투쟁 [사설] 거리에 나선 전교조 투쟁 연금개혁 대상 당사자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4월24일 금요일을 택해 정부의 연금개혁 반대를 이유로 거리에 나서게 된 연가투쟁 강행에 교육부가 전원 징계하겠다고 위협하는 등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전교조는 이에 앞서 지난 6일에서 8일까지 연가투쟁에 대한 조합원 교사의 찬반투표를 실시했으며 63%가 투표에 참여했고 이들 가운데 67%는 찬성표로 연가투쟁을 승인했다. 이처럼 전교조의 연가투쟁은 지난 2006년 교원평가 반대 투쟁 이후 9년 만의 일이며 연금개혁에서 적용대상의 직접 당사자이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가 되고도 남는다. 또한 변선호 전교조 위원장은 지난 9일부터 단식농성에 들어갔고 중앙집행위원 전원이 삭발투쟁을 벌이고 있다. 이처럼 전교조의 연가투쟁은 공무원.. 더보기
[사설] 책이 교과서가 되는 교실 [사설] 책이 교과서가 되는 교실 독서교육 핵심 전환 신선해야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학교의 독서교육을 보다 강화해서 책이 바로 교과서가 되는 교실이 되도록 역점을 두기로 했다. 또 올해 독서교육의 핵심은 ‘인문 소양 교육’으로 정립하고 책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되 책임감을 기르며 보다 넓은 견지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안목을 키워주겠다는 것이다. 특히 학교교육에서 독서교육은 별개의 것처럼 소홀하고 교과과목 공부가 먼저이며 독서는 그 다음에 추가적으로 진행되어 온 것을 솔직하게 시인하면서 지적한 대목에 공감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독서교육은 대학입시에 목표를 둔 논술에다 초점을 맞추거나 체계적인 구조없이 지속되어 온 것에 착안, 통찰하겠다는 것은 획기적이다. 이에 독서교육이 교과과정 안에서 진행되다 보니 .. 더보기
[사설] 해외학생 韓國語에 몰려 [사설] 해외학생 韓國語에 몰려 여러나라서 매년 늘고 韓流열풍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지면서 지구촌 곳곳의 해외학교들 가운데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이 해마다 늘어 태국은 최근 4년 동안 14배 증가했다. 이와 같은 상황은 교육부가 지난11월 기준 조사한 26개국 1천1백11곳 초·중등학교의 제2외국어 선택과 방과 후 활동에서 드러났다. 이들 한국어 선택 학생 수는 9만3천144명에 이르고 지난 2010년만 해도 540개교서 5만7천464명이던 것이 늘어 4년 동안 62% 증가했다. 이에 교육부는 증가 요인을 한국 대중문화가 인기를 끌고 한국 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오르면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청소년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했다. 앞에서 예거한 태국의 경우만 봐도 2만4천65명으로 4년 전까지 1천672명.. 더보기
[사설] 공무원 연금법 개정 거부 [사설] 공무원 연금법 개정 거부 저지결의, 4월 투쟁 주목 공무원 연금법 개정을 결사 반대한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저지 활동이 지난 3월28일 여의도 총력 투쟁 결의대회에 이어 4월까지 이어질 것에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는 총파업이 포함된 강력한 투쟁으로 교원도 피해갈 수 없음에 주목된다. 이에 투쟁의 강도는 금년 상반기 일정에서 4월16일 세월호 참사 1주기 총파업 선포대회와 4월25일 범국민대회에 이어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에 따른 5월1일 세계노동절의 총파업 돌입 선언도 불사할 기세다. 올해 하반기에는 공적연금의 사회복지관련 이데올로기 투쟁을 전면화하고 노후복지에 대한 사회적 의제화까지 내걸고 있다. 또 2014년의 “연금개악 저지는 공무원노조가 아니었으면 불가능했다”면서 작년 11월1일 .. 더보기
[사설] 김영란법의 적용 대상 [사설] 김영란법의 적용 대상 교육계 여론 핵심 반영하라 일명 ‘김영란법’의 적용 대상을 둘러싸고 교원이 포함된 것을 계기로 사학의 부정 비리에 대한 고리를 끊을 방안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국교총은 대변인의 성명 발표를 통해 “절대 다수의 교육자는 이 법과 상관이 없음에도 적용 대상에 포함시켜 가뜩이나 저하된 사기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위축이 우려된다”면서 “이미 교원은 금품과 향응수수 등은 징계로 승진이 제한되고 해임과 파면 처분이 따르기 때문에 법 적용의 확대로 위헌성 논란을 부르게 될 소지”라고 지적했다. 전교조에서도 “교육계에 잔존한 불합리와 금품수수를 몰아내고 차단, 척결하기 위한 법 제정은 시대적 흐름에 부합한 것”이라며 “사학의 사회적 공공성을 감안해서 재단이사장과 이사까지 적용 대상에.. 더보기
[사설] 국립대학 기성회비 표류 [사설] 국립대학 기성회비 표류 등록금 고지서 발급 못해서야 전덕영 전남대학교 평의원회 회장은 최근 “국립대학의 기성회비가 표류하면서 새학기가 되어도 등록금 고지서를 발급하지 못한다”고 호소했다. 사유는 국립대학생 등록금의 80%를 차지한 기성회비에 대한 불법성 여부를 가리는 대법원 상고심이 계류 중이고 국회는 기성회비를 수업료로 대신 거두도록 하는 국립대학회계법안 제정을 심의 중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양쪽 모두 시의적절하지 못해 한발 늦은 상태여서 대학 운영에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지켜보게 된다. 이에 대학구성원들의 교육부를 보는 시선은 여전히 곱지 못한 채 학생들의 반응 또한 국회의 법제정에도 부정적이어서 회계법안 처리 전망은 낙관하기 힘들것에 우려가 따른다. 결국 법원의 최종 확정 선고가 늦어질.. 더보기
[사설] 공립 일반고 운영비 줄어 [사설] 공립 일반고 운영비 줄어 육성회비 인상 등 후유증 크다 2015년도 공립 일반고교의 운영비가 평균 4000만 원 수준 줄어들면서 2014년 보다 어려워진 것으로 후유증이 심각한 것에 지원, 수습책이 시급하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한 감액으로 물가고와 공공요금 인상 등 학교운영 사정이 증액해도 어려울 지경에서 오히려 삭감된 편성으로 단위 학교의 고충은 필설로 형언하기 어렵게 악화된 것이 드러난 셈이다. 특히 서울 강남지역의 8개 공립고교 중 3개교는 학운위를 거쳐 운영지원비(육성회)를 지난해 보다 6천원 수준 인상했고 학생 급식비도 중식과 석식 평균 200원 수준 인상한 것으로 당장의 어려움에 대처하고 있다. 이들 3개교의 사례에서 보면 K고교의 경우 지난해 월액 운영지원비 88,200원에서 올해는.. 더보기
[사설] 성공한 산림녹화의 교훈 [사설] 성공한 산림녹화의 교훈 세계 20위 OECD 상위 달성 1979년 12월 이전의 고 박정희 대통령이 집권한 기간 중 국정과제 가운데 치산치수는 국운을 걸고 추진한 것으로 기억에 새롭다. 그로부터 36년이 흐르는 동안 우리의 강산과 하천은 푸르고 짙어 초목이 무성하게 자랐고 이젠 뒷동산까지 숲이 우거져 오르기 어려울 만큼 울창하다. 지난 1월 30일 산림청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체 국토 가운데 산림면적 비율은 63.8%로 세계 188개국 가운데 20위다. 한국보다 약간 앞선 나라는 핀란드 72.9%, 스웨덴 69.2%, 일본 68.6%로 3개국 뿐이다. 반면 미국은 33.3%, 독일 31.8%, 이탈리아 31.6%, 프랑스 29.3%로 우리의 절반 수준이며 영국은 12%밖에 안 된다. 또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