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단위 학교의 교육정보 공개 시스템 구축 단위 학교의 교육정보 공개 시스템 구축 - 교육언론 반세기 현역 백발기자의 역대 교육장관 발자취 추적(제436회) - ○…본고는 50여년간 교육정책의 산실(교육부 출입)을 지켜본 외길 김병옥(www.edukim.com·010-5509-6320) 교육기자가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신동아’ 2006년 6월호 특집에 기고한 ‘교육부 40년 출입 老기자의 대한민국 교육장관 48인론(20페이지 수록)’에 이어 여러분이 요청한 뜻에 따라 계속했다. 역대 장관의 정책은 안해본 것이 없을 만큼 다양해서 오늘을 비춘 거울이 되고 있다. 〈편집자〉…○ 학사 교육과정 운영 학습결과 등 포함 학생 선택 마이스터고교 자사고 도입 농산어촌 우수고교 기숙형으로 전환 - 대입시 3단계 자율화 사정관제 전형 등 고시- 이명박 MB정부.. 더보기
시 - 누나와 동생 시 - 누나와 동생 ‘누나가 태어나서 혼자일 때 아빠는 엄마에게 졸라댔어요 씩씩한 남동생 하나만 낳아달라고 엄마도 못이긴 척 안겨준 동생 무럭무럭 자라서 유치원에 가더니 누나따라 나란히 학교로 가겠대요’ 더보기
[사설] 학교체육 부실 왜 이러나 [사설] 학교체육 부실 왜 이러나 수업시수 전문강사 부족하다 대한체육회가 지난해 12월 10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당당한 학교체육 열망’주제의 포럼을 통해 밝힌 문제점은 올해 현안 중 첫손에 꼽게 된다. 특히 한국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2016년 146개국의 11~17세 학생 대상 조사에서 94.2%가 하루 1시간 미만 운동하는 것으로 최하위 불명예였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스포츠혁신위원회가 운동부 중심의 학교체육을 일반학생도 함께 하도록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재정부족과 입시준비가 다급한 실정을 극복하지 못해 사후 약방문이 되고 만 것은 뼈아픈 실책이다. 그래서인지 포럼에서 서울체육고교 이병호 교사는 “우리 사회에서 입시는 빠져나올 수 없는 블랙홀”이라며 .. 더보기
[시사해설] AI교육 전략과 학교지원 [시사해설] AI교육 전략과 학교지원 미·중국 한판 승부 영역 서울 “시대부응 원년” 다짐 정부 준비지수 급조 수준 지난해 연말 정부는 인공지능(AI) 국가전략을 발표했고 새해들어 서울시교육청은 “인공지능 교육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혀 올해 각급학교의 AI교육에 기대하게 된다. 국가 AI전략은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한판 승부영역이면서 정부의 준비 지수도 잰걸음으로 급조된 것에 아쉽다는 평이다. 이는 새로운 인공지능으로 2030년까지 세계경제가 15조달러 이상 늘게 되고 매년 증가할 것에 긴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은 자국의 안보를 넘어선 것으로 미래세계와 인류에 대한 통제권력을 놓고 승부를 벌일 것에 위협적이다. 이에 올해 들어 1월 현재 30개국에서 인공지능 전략을 발표했고 독일 아데나워재단은 .. 더보기
[잠망경] 학생 만족도 1위 대학에 눈길 [잠망경] 학생 만족도 1위 대학에 눈길 국립대학 부문 앞자리 지난해 대학의 교육서비스 부문 학생 만족도 조사에서 80점을 받은 서울대학교가 1위, 2위는 충남대학교(79점), 3위는 경북대학교(78점)가 차지해 눈길. 충북대와 전남대는 77점으로 공동 4위였고 경상대와 전북대도 76점으로 공동 6위, 부산대는 75점으로 8위, 강원대는 73점 9위, 제주대가 69점으로 10위 차지. 이밖에도 지난해 전국의 국립대학교 만족도는 2018년 보다 1점 오른 77점 평균으로 느린 소걸음. 사립대학 부문 윗자리 수도권의 15개 사립대학교 가운데 성균관대학교가 13년간 연속 1위였고 경희대 2위, 이화여대 3위, 한양대 4위, 숙명여대와 건국대학교가 공동 5위 차지. 2019년 사립대학부문은 전년과 동일한 75점.. 더보기
새로운 교육·과학정책 다지기 총력전 - 교육언론 반세기 현역 백발기자의 역대 교육장관 발자취 추적(제435회) - ○…본고는 50여년간 교육정책의 산실(교육부 출입)을 지켜본 외길 김병옥(www.edukim.com·010-5509-6320) 교육기자가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신동아’ 2006년 6월호 특집에 기고한 ‘교육부 40년 출입 老기자의 대한민국 교육장관 48인론(20페이지 수록)’에 이어 여러분이 요청한 뜻에 따라 보완했다. 역대 장관의 정책은 안해본 것이 없을 만큼 다양해서 오늘을 비춘 거울이 되고 있다. 〈편집자〉…○ 이명박 MB정부의 처음 51대 김도연 교과부장관 초등 영어 몰입교육 억제 조절 2008년 3월 20일 김도연 장관은 이명박 대통령에게 연두 업무보고에서 새로운 교육정책 비전과 목표에서 “교육과학기술부의 통합적 역.. 더보기
사 랑 - 김 병 옥 ‘죽는 날까지 가슴에 담고 한마음 이승 떠나도 누가 먼저 가건 기다렸다 꽃바람 무지개타고 날자’ 더보기
[긴급제언] 유치원 무상화 왜 못하나 어린이집 고교도 실시했다 UN의 우리나라 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는 “유치원을 교육의 공간으로 보고 있느냐?”고 의심할 만큼 부정적이다. 김희진 국제아동인권센터 변호사가 전한 지난 9월의 아동권리위원회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아동권리협약 이행 5~6차 심의과정에서 “한국은 교육의 본분을 포기했는지?” 되묻고 열악한 교육환경, 높은 사교육 의존도, 아동의 놀 권리 박탈과 지역 격차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의문을 제기했다. 우리의 교육기본법(제9조)은 유치원도 초·중고·대학과 함께 정규 학교로 명시(유아교육법 2조)하고 있다. 특히 UN의 아동권리협약 제28조는 교육받을 권리에서 기회평등과 의무·무상교육은 헌법상 보장되는 기본권에 속한 다고 상기시켰다. 지난 2004년 유아교육법이 제정된 이래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 더보기
[시사해설] “근거 결과 반성없는 시행” 아침에 천명 저녁에 번복 국회교육위원장 등 지적 학생 학부모 깜깜이 정책 20대 국회 전반기 교육위원장 유성엽(전북 정읍)의원은 올해 11월 문재인 정부가 5년 임기 절반을 넘긴 것에 “근거와 결과도 없고 반성없이 시행착오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바란다”고 지적했다. 김대중 정부 때 국회교육위원장이었고 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 조순형 위원장은 지난 11월 15일 자사고 특목고 등의 일반고 전환에 대해 “근거법은 놔두고 시행령만 바꾼 것으로 학생과 학부모는 학교 선택권을 빼앗기고 교육자는 다양한 교육의 자율·재량을 잃었다”면서 “언론은 자사고 특목고 등의 일괄 전환을 국가폭력으로 비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한 49곳의 농어촌 자율고는 학생 수를 채울 수 없어 폐교 위기에 몰리.. 더보기
[잠망경] 힘센 흰쥐의 해 庚子年 운수 남북한 정상 화초와 돌 풍수학자인 김두규 우석대 교수는 내년 한해를 내다보고 펴낸 ‘2020년 운명을 읽는다’에서 오행상 庚은 쇠(金)이고 子는 물(水)이며 쥐를 뜻한 것으로 “힘센 흰쥐의 해가 된다”고 풀이. 또 “한나라 지도자의 운은 국민의 안위에 끼칠 영향이 크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사주로 보면 늦겨울 바닷가의 화초이며, 김정은 위원장은 바닷가 조약돌로 불이 필요하지만 두 정상 운이 좋다는 것. 미·중 무난 일본 기복 한반도에 영향력을 끼친 미국과 중국, 일본의 지도자가 누릴 새해 운은 무난과 기복이 교차된 것으로 미 트럼프는 한여름 가뭄에 메마른 땅이지만 물을 잘 이용해서 성공했고 윤택하며, 중국의 시진핑도 막힘없이 큰 길을 가면서 활발하지만 일본의 아베는 신년이 바위처럼 강한 사주로 금(庚)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