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병옥컬럼

[사설] 방과후학교의 교육손익


[사설] 방과후학교의 교육손익

학생·학부모·교원·학원에 물어보라

노무현 정권의 말기에 시작된 방과후학교 정책은 3년째 접어들고 있어도 찬·반 시비가 가라앉기는 커녕 더욱 거세게 일고 있다.

정치권은 방과후학교 운영 강화가 서민의 일자리 창출과 사교육비를 줄이는 데 지름길이라고 우기고 지자체는 관내 학교의 경비지원 차원에서 돕는다고 하지만 학생 급식과 교육환경 개선에 눈을 돌리고 있다.

정작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들은 사교육비를 경감하는 방안에는 수긍하면서도 시행의 허구에 실망하는 등 회의적이다.

교원들은 학교교육과정 운영에서 방과후학교가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허술한 것을 지적하면서 제대로 된 방과후학교의 모델과 성과분석을 요구한다.

학원에서는 방과후학교의 폐해와 문제점을 들어 파행적 형태를 예거하고 개선하도록 대안까지 제시했다.

이와 같이 실수요자의 요청보다 공급선에서 흘러나오는 소리가 더 요란해서 문제이다.

당초 방과후학교의 착안과 시작은 학교밖의 사교육을 공교육이 끌어안고 고통을 분담하는 의지에서 출발했다.

그러면서도 운영의 실제는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 참여가 뒷전에 밀려 앞자리에 설 기회에서 멀어져 갔다.

공급자 위주의 정책이 아니었기를 바란 것에 반해 진행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개선의 여지가 좁아 보인다.

지금까지 방과후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목소리가 분명하게 들려오지 않았으며 학부모도 집약된 의견을 피력할 기회가 충분하지 못했다.

때문에 학생과 학부모는 기대한 만큼 욕구의 충족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대도시 보다 농산어촌지역의 학부모는 추수지도 차원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희구하고 학생들도 바라는 것은 다르지 않다.

그동안 이들 지역은 특기·적성지도에서 성과를 실감했고 지금도 이를 지도할 교사를 인사에 반영해 주도록 바라고 있다.

교원은 방과후학교에 대해 반기거나 호응도에 기대하기 어렵게 업무부담 측면에서 부정적이다.

학교장 중 일부는 정책과 영합하는 수준의 조건반사 이상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다.

총체적으로 기존의 역할과 기능발휘에도 역부족을 호소한다.

마지막 학원은 어떤가?

지난 14일 총연합회에서 방과후학교 관련 기자 간담회를 갖고 폐해와 문제점을 설명하면서 저소득층 자녀 및 희망학생에 한해서 무상으로 실시하되 학원과 지자체가 분담하는 바우처제도를 제시했다.

이처럼 해법의 실마리가 풀리는 단계라고 볼 때 당국은 학생·학부모·교원·학원에 묻고 그 대답을 근거로 교육의 손익을 따져 개선책 수립에 나서야 할 것이다.

방과후학교의 시작이 학생을 위한 것이었으면 학생에게 먼저 묻고 그들이 원하는 방향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부모와 학교에 다시 묻고 지원하는 성의가 요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