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토론장

[잠망경] 오답 부른 학생 역사인식 설문

[잠망경] 오답 부른 학생 역사인식 설문

 

불분명한 질문 혼돈

 

얼마전 한 언론에서 실시한 청소년 역사인식 조사 결과 고교생 응답자의 69%가 6·25를 북침이라고 대답한 것으로 밝힌 것에 일선 교사들은 “설문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누가 침입했느냐?”고 물으면 당연히 “북에서 침입했기에 북침이라고 한 것이므로 남북 중 어느 쪽에서 침략했느냐?고 물었어야 한다”면서 “오답을 부른 설문”으로 반박.

 

승공의 오류도 경험

초대 이승만 대통령 재임 때는 반공보다 강한 의미의 멸공으로 용어를 통일해서 6·25 남침에 대처한 분쇄의지를 확실하게 새겨 국론통일.

그 이후 반공으로 용어가 바뀌었다가 승공(勝共)으로 달라지자 직역해서 오류가 드러나면서 자칫 공산당이 이긴다는 뜻으로 왜곡될 위험성에 반공으로 회귀한 것을 상기.

이렇듯 용어는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지 못하고 뜻만 너무 강조하다 보면 흐름에 역행을 동반하기 마련.

 

준다를 받다로 곡해

한 언론의 보도에서 농어촌학생들의 통학비용을 지자체에서 지원하기 위해 버스비를 전액 보조하게 되면서 ‘받는다’고 표기한 것에 이의 제기.

이는 학생이 받는다는 뜻이면서 학생들로부터 받는다고 곡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돕게 된다’고 해야 옳다는 것.

이처럼 일상용어는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옛말처럼 말의 앞뒤가 다르지 않고 같은 뜻으로 이어져야 바르게 전달되면서 오해도 불식.

때로는 침묵이 금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