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교육소식

[잠망경] 죽어서까지 빈부 지위 차별화

[잠망경] 죽어서까지 빈부 지위 차별화


사설묘지 허용 호화판


1948년 8월, 건국 초대 안호상 문교부장관은 우리 교육의 홍익이념을 가르치기 위해 ‘남녀상하 차별없는 일민주의’를 내걸었고 후에 ‘법의 날’ 구호는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고 했으나 오늘날 사회 현상은 사설묘지의 허용 때문인지 죽어서까지 빈부에 따른 차별과 지위 여하로 대접이 달라진 것은 역겹고 참기 힘든 일.

 

현충원 장묘의 후진성

 

장병환 예비역 육군 중령은 지난 8월3일자 조선일보 기고(발언대)에서 “후진적 국립묘지의 신분 차별을 없애라”며 “세금으로 국가가 설치하고 관리하는 국립묘지가 신분에 차별을 두고 있으니 민주국가라고 할 수 있느냐?” 묻고 “영관 이하 장병은 화장하여 한평 땅에 평장하고 비석만 세운 것에 반해, 장군은 8평, 전직 대통령은 80평 묘역에 봉분까지 만들어 주는 등 1백 평이 넘는다”고 못마땅.


외국의 사례 거울되게


장 중령이 밝힌 외국의 사례는 미국 알링턴 국립묘지의 경우, 장군 및 사병이 차별없이 1평 반의 묘역에 들어오는 순서대로 평장하고 케네디 대통령도 이 곳에 묻혀 20평에 부부와 죽은 두 자녀, 동생 로버트 케네디까지 묘비에 이름만 새겼다고 예시.


독일의 빌리 브란트 전 총리는 시골 공원묘지에 일반인과 같이 묻혔으며 이름만 새긴 비석 앞에 한평 정도 잔디 뿐이고 프랑스 드골 전 대통령은 유언에 따라 조촐한 가족장으로 고향의 공동묘지에 묻혔으며, 중국의 등소평은 화장 후 유골을 바다에 뿌린 것으로 후세의 본이 되고 있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