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병옥컬럼

[주간시평] 스마트교육 체제 조성

[주간시평] 스마트교육 체제 조성

 

아날로그시대 종언 불구

교수·학습역량 제고 시급

디지털교과서 개발 늑장

 

TV방송 등 영상매체의 아날로그시대가 2012년에 끝나 2013년은 디지털시대로 진입, 5개월째다.

 

그러나 유치원·초·중·고 교실은 여전히 서책형 교과서에 의존하고 있어 디지털교과서를 연계한 새로운 구축이 시급한 실정.

 

이것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늑장 대처가 불러온 시대흐름의 반역이다.

 

이를 보다 못해 화가 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지난 4월 18일 교육부 업무계획을 들춰 이 부문의 향후 추진 방향을 묻고 조속한 대응책을 촉구했다.

 

특히 교육부는 이를 전담할 국장급 창의인재정책관을 국회에서 질타가 있은 하루 뒤에 임명했고 그 다음날은 ‘스마트교육학회’가 창립되었다. 신임 정책관은 교육과정 전문가로 이미 공립고 교장에서 정년으로 퇴임한 후 사립교장이었다가 기용됐다.

 

이처럼 교육부의 디지털교과서 개발은 2012년에야 표준을 정립하고 스마트교육 추진 기반을 조성한 것으로 게을렀다.

이를 위해 우수 교육청을 지정, 모델학교 육성을 통한 교수·학습 모델 개발 등 교원 연수도 병행한다.

 

이는 지난해 실적으로 5개 우수교육청과 17개 학교의 컨설팅지원 등 우수 수업사례 110종을 보급했고, 스마트교육 선도교원 1,720명을 양성,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올해는 겨우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스마트교육체제 조성으로 바빠지고 있다.

디지털교과서의 적용 기반 및 환경 구축을 통해 교과서 완결학습체제를 다지면서 수업모델을 계속 발굴, 확산해서 교사·학생의 교수·학습 역량이 강화되도록 서두른 것이다.

 

그리고 2014년은 중학교 사회·과학·영어의 디지털교과서 적용 기반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검·인정 디지털교과서의 심의체제 구축이 선결이다. 심의 기준과 절차 및 방법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정도서 편찬기관과 민간출판사의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표준과 지침을 마련해서 담당자도 연수해야 한다.

이처럼 2014년 적용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범위는 초등 3~4학년용 사회·과학과 중 1~3학년용 사회과 검정교과서 및 영어·과학의 인정교과서 뿐이다.

 

아울러 스마트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켜 역기능에 대비할 일은 현안이다.

교육과정과 연계할 정보통신윤리 지침과 지수 개발등 보급은 발등의 불만큼 다급하다.

이에 관한 지원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도맡고 있다.<炳>